LBPH

LBPH 분류기 학습을 배우다. (광주, 인공지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광주광역시) 1. LBPH 분류기 학습 LBPH 분류기를 학습시키기 전에 이 분류기의 학습과정을 알아보자. LBPH 분류기는 이미지를 작은 정사각형(셀)으로 나누고 각 정사각형에 특정 조건을 적용해서 이진값을 생성한다. 최종 목표는 작은 정사각형마다 하나의 히스토그램을 그리는 것이다. 히스토그램을 그리는 이유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해서 얼굴을 비교할 때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얼굴마다 히스토그램 SET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이미지를 분류기에 넣으면 새로운 히스토그램 SET가 생성되는데,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학습 시 저장된 모든 히스토그램과 비교한다. 알고리즘의 학습 과정은 각 클래스에 관한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고 파일로 저장한다...
Face Recognition (얼굴 인식) 개념 및 이미지 전처리를 배우다. (광주, 인공지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광주광역시) 1. 얼굴 감지 vs 얼굴 인식 지금까지 배운 것은 얼굴 감지 기능이었다. 이제부터 배울 것은 얼굴 인식 기능인데, 얼굴 감지와 얼굴 인식은 들었을 때 비슷한 느낌일 것 같다. 하지만 다르게 말하는 이유가 있듯이 두 기능의 목적이 다르다. 얼굴 감지의 목적은 얼굴을 식별하고 얼굴 주위로 경계 상자를 그리는 것이다. 주로 사용되는 곳은 얼굴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주로 사용한다. 얼굴 인식의 목적은 얼굴을 감지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얼굴의 인물이 누구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얼굴 인식이 얼굴 감지의 다음 단계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일단 얼굴을 감지해..
이뮨01
'LBPH'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