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

Service 역할과 생성방법을 배우다. 1. NestJS에서 Service 서비스 안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련 로직을 처리한다.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데이터베이스 안에 정보를 넣어주는 등의 로직을 처리한다. nest g service 서비스명 --no-spec 위와 같은 nestjs/cli 명령어를 사용하면 서비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나는 boards 서비스를 cli를 이용해서 Service를 생성했더니 boards.service.ts 파일이 생성됐다. service파일 안에는 @Injectable 데코레이터가 있으며 다른 컴포넌트에서 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cli로 Service 생성 시 module에도 자동으로 providers로 생성한 Service가 추가된다는..
NestJS 프로젝트 시작과 아키텍처 구조를 파악하다 1. NestJS 시작하는 명령어 NestJs는 명령어를 사용해서 프로젝트 구조를 만든다. 처음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특정 기능을 담을 모듈을 생성할 때. NestJS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npm i -g @nestjs/cli nest new 프로젝트명 nestjs 클라이언트를 npm 명령어를 사용해서 다운받아준다. yarn 명령어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난 npm이 좋다. Controller는 Express에서 라우터?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 같다. Get(Handler) 안에 아무것도 없으니 '/'로 끝나는 주소에 요청을 보낸다. 그리고 appService의 getHello 함수에 접근한다. appService의 getHell..
Node.js를 기반으로 하는 서버 프레임워크 NestJS를 배우다. 1. NestJS 란 Nest.js는 Node.js를 기반으로 한 서버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내부적으로는 Express와 Fastify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Express와 달리 정형화된 아키텍처를 지니고 있다. Controller, Service 등의 개념이 있다. 정해진 아키텍처가 없다면 서로 다른 개발자마다 다른 구조로 작성하게 된다. 다른 사람의 코드를 분석할 때 아키텍처부터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Nest.js는 TypeScript 언어를 기반으로 작성되어 있다. 따라서 TypeScript를 배우고 있는 현재의 나의 상황에 맞춰 배우기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배워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TypeScript..
Node.js 설치 및 사용법 1. Node.js 정의 및 설치 Node.js란 JavaScript로 브라우저 밖에서 서버를 구축할 수 있게 해주는 환경이다. Node.js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한다. 대부분의 경우 LTS버전으로 사용자의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2. Node.js 사용 ( node_modules ) Node로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 Node의 모듈을 설치해서 사용해야 한다. 일단 "npm init"을 사용해서 패키지를 생성해준다. package를 생성할 때 주의할 점은 main에는 서버로 사용할 파일명을 사용해줘야 한다. (위의 사진에선 app.js이다.) Node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http모듈을 사용해도되고 express모듈을 설치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뮨01
'Back-End'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