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의 기능을 하는 method를 배우다.
/*
* ■ Method (함수)
* - 반복적으로 동작하는 작업들을 함수로 생성하고 호출
* - 카멜 표기법 사용
* - main(): 가장 먼저 실행!
*
* (전체 다 통으로 쓰기 지필평가 외우기!)
* ■ Method 문법
* 접근 제한자 | [지정어] | 반환타입 | 메소드명 | (매개변수) {
* public static void 카멜표기법 기본자료형 변수명
* protected final 기본자료형 객체자료형 객체참조변수
* [default] abstract 객체자료형
* private
*
* 실행문;
* return;
* }
*
* ■ 매개변수
* - 입력 파라미터
* - 함수의 입력값 → ()
* ex) (String name, int age)
* -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값이 많아지면
* → 객체로 묶어서 전달하면 효율적!
* → DTO (Data Transfer Object): 데이터만 전달하는 객체
* - 매개변수를 생략 가능 → ()
*
* ■ 함수 사용방법
* 1. 함수 선언 (함수 작성)
* 2. 함수 호출 (함수 사용) → 함수이름으로 호출
*
* ■ 함수 종료
* - 함수에 있는 모든 코드를 실행하고 호출했던 곳으로 돌아가는 행위
* 1. } 만나는경우
* 2. return;을 만나는 경우
*
* ■ 데이터 반환타입
* - 함수 호출 → 함수 실행 → 호출한 곳으로 back
* - 호출한 곳으로 값을 전달하고 싶은 경우 → return 값
* - return 값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함수 선언시 데이터 반환타입을 명시해야 함
* 1. 기본자료형
* 2. 객체자료형
* 3. void: return 값을 사용하지 않음
*
* 내장함수, 외장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
* ■ return
* ■ 메소드 오버로딩, 오버라이딩
* ■ 생성자 메소드
* */
package ch06_object;
public class Method03 {
// 1. 함수 선언
public static int calcAge(int birth) {
int age = 2025 - birth + 1;
return age; // age는 return value (리턴값) 호출된 곳으로 반환됨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2. 함수 호출
int age = calcAge(1989); // age 변수에 calcAge 함수의 반환값이 저장됨
System.out.println("당신의 나이는: " + age);
}
// public void test(MemberDTO mDto) { // 객체로 보내는 예시
//
// }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Class (클래스) (0) | 2025.07.10 |
---|---|
[Java] 접근 제한자 (Access Specifier) (0) | 2025.07.08 |
[Java]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OP) (0) | 2025.07.08 |
[Java] 배열 (0) | 2025.07.08 |
[Java] while 반복문 (0) | 2025.07.08 |